소치 동계 올림픽 참가국 중에서 금메달리스트에게 가장 많은 포상금을 내건 나라는 카자흐스탄으로 밝혀졌습니다. 블룸버그의 보도에 의하면 카자흐스탄은 금메달리스트에게 25만달러를 지급합니다. 은메달과 동메달을 딴 선수에게는 각각 15만 달러와 7만 5천달러를 지급합니다. 개최국 러시아는 11만 3천 달러로 6위지만 정부 지급 포상금 외적으로도 약 3배에 해당하는 포상금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합니다.
우리 나라는 일시금으로 계산했을 경우 6만2천 달러로 10위에 해당하지만 매달 100만원을 연금으로 받는 금메달리스트는 22년이 지나면 1위로 올라섭니다. 17세인 심석희의 경우 39세가 되면 세계에서 가장 많은 포상금을 받게 되는 셈입니다.
블룸버그는 한국의 연금 제도의 관심을 갖고 한국 선수들이 투자 실패 등을 겪어 현재는 일시금보다는 연금을 선호한다고 보도했습니다. 올림픽 메달 연금은 또한 선수로 하여금 경제적 압박에서 벗어나 선수 생활을 안정적으로 영위할 수 있게 해준다고 설명했습니다.
슬로베니아는 금메달 2만 7천 달러 은메달 2만 3700 달러 동메달 2만 3백 달러를 지급해 금메달과 동메달간에 차등이 거의 없어 메달 색깔에 관계없이 모든 메달리스트를 대등하게 대우하는 것 같습니다. 오스트리아도 특이합니다. 오스트리아는 현금을 지급하지 않고 메달리스트들에게 은화 세트를 줍니다. 금,은,동 각각 17, 13, 11개 짜리 은화 세트를 받습니다.
한편 중국은 포상금이 밝혀지지 않아 순위에 랭크되지 않았지만 2012년 QQ.com 기사에 따르면 8만 2500달러를 지급한다고 합니다. 사실이라면 전체 8위에 해당하는 액수입니다. 크로아티아, 노르웨이, 스웨덴, 영국은 메달리스트들에게 따로 포상하지 않습니다.
각 나라별 메달 포상금
순위 | 나라 | 금메달 (단위:$) | 은메달 | 동메달 |
---|---|---|---|---|
1 | 카자흐스탄 | 250,000 | 150,000 | 75,000 |
2 | 라트비아 | 192,800 | 96,400 | 67,500 |
3 | 이탈리아 | 189,800 | 101,700 | 67,800 |
4 | 벨라루스 | 150,000 | 75,000 | 50,000 |
5 | 에스토니아 | 138,000 | 92,300 | 60,600 |
6 | 러시아 | 113,200 | 70,800 | 48,000 |
7 | 스위스 | 88,600 | 77,500 | 66,450 |
8 | 체코 | 73,900 | 37,000 | 22,200 |
9 | 프랑스 | 67,800 | 27,100 | 17,600 |
10 | 한국 | 62,000 | 51,670 | 36,170 |
11 | 슬로바키아 | 60,800 | 47,300 | 27,000 |
12 | 네덜란드 | 40,600 | 30,500 | 20,300 |
13 | 핀란드 | 40,600 | 20,300 | 13,500 |
14 | 폴란드 | 38,300 | 25,560 | 15,980 |
15 | 일본 | 29,300 | 19,600 | 9,800 |
16 | 슬로베니아 | 27,000 | 23,700 | 20,300 |
17 | 미국 | 25,000 | 15,000 | 10,000 |
18 | 오스트리아 | 21,600 | 16,500 | 14,000 |
19 | 독일 | 20,300 | 13,500 | 10,150 |
20 | 캐나다 | 17,900 | 13,400 | 8,900 |
21 | 호주 | 13,000 | 8,700 | 6,500 |
22 | 중국 | 미상 | 미상 | 미상 |
23 | 크로아티아 | 무 | 무 | 무 |
노르웨이 | 무 | 무 | 무 | |
스웨덴 | 무 | 무 | 무 | |
영국 | 무 | 무 | 무 |
[참조]
Kazakh Olympians Join Ex-Soviet Comrades for Top Medal Pay - Bloomberg
[관련 글]
2014/02/07 - 역대 동계 올림픽 메달 수, 한국이 아시아 1위
2011/07/08 - 스포츠 대회 우승 상금 순위 탑 15.